- ₩0 이상 ~ ₩12,500 미만₩2,500
- ₩12,600 이상 ~ ₩21,000 미만₩3,000
- ₩21,000 이상 ~ ₩50,000 미만₩3,500
- ₩50,000 이상 ~ ₩100,000 미만₩4,000
- ₩100,000 이상 ~ ₩200,000 미만₩8,000
- ₩200,000 이상 ~ ₩10,000,000 미만₩0
▶ 유기농 쌀 판매시작
리무진 농부님이 전국농민총연맹 정책위원장으로 가시면서, 올해 쌀 농사를 짓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하여, 쌀농가를 찾아다녔습니다. 다니면서
▶ 아래와 같은 점을 눈여겨보았습니다.
[0] 농부님과 직거래 인 곳
[1] 농약을 살포하지 않는 재배 방식
[2] 인근 논이나 밭에서 농약이 넘어오지 않을 위치의 경작지
[3] 온라인 판매가 가능하고 택배가 가능한 곳
[4] 주기적인 정미로 도정 후 발송기간이 짧은 곳
[5] 생산자가 되도록 1명 또는 작목반으로 이루어져 생산자가 명확한 곳
[6] 쌀 품종이 단일화 된 곳
[7] 친환경 인증이 00 기간 이상 유지된 곳
[8] 볍씨 보관이 적정 온도에 유지되는 곳
[9] 밥을 지었을 때 맛이 모나지 않은 곳
▶ 차황 유기농 쌀은
[0] 생산자가 직접 생산 포장 발송합니다.
[1] 유기 재배 단지에서 재배합니다.
[2] 면 지역이 전체 친환경 단지로 무농약과 유기농 쌀을 재배합니다.
[3] 우체국 등에서 판매중입니다.
[4] 급식 납품을 하고 있어 매일 도정을 목표로하고 때에 따라 3~7일 정도 도정된 쌀이 발송 되기도합니다.
[5] 차황 메뚜기쌀 작목반 입니다.
[6] 추청벼를 재배합니다.
[7] 친환경 단지 조성이후 그 인증을 유지해왔습니다.
[8] 저온 창고에 볍씨를 보관합니다.
[9] 지난 8월 부터 식당 등에 납품 하였고, 밥 맛이 좋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둘밥에서는 산청군의 차황친환경단지의 유기농 쌀을 판매하기로하였습니다.
01
누가생산하나요?
■ 차황친환경메뚜기작목반
작목반의 대표이신 정용국 농부님을 비롯하여 17농가가 함께합니다.
강천이 / 김경식 / 김순기 / 김용분 / 김종삼 / 박상무 / 박천기 / 배재호 / 서동열 / 우오현 / 이명희 / 이임열 / 이춘우 / 이호엽 / 정용국 / 최상봉 / 홍성석 17농가가 함께 합니다. 2020년에는 두 농가가 더 참여 예정입니다.
차황면의 여름과 가을
02
어디서 재배하나요?
■ 경상남도 산청군 차황면
차황면은 90년대에는 [메뚜기쌀] [논고동 쌀] 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었습니다. 2007년에는 친환경 광역농업단지로 선정 되었습니다. 면 일대가 친환경 농업을 행하는 단지로 지정된 것입니다.
03
어떻게 재배 하나요?
쌀은 종자! 재배! 볍씨의 보관! 그리고 도정!에 따라 품질이 많이 좌우 됩니다.
땅 / 종자 / 재배방식 / 볍씨의 보관 / 도정 / 그리고 누가 키웠는가?
■ 종자 - 추청벼 아끼바리 - 아키바레(秋晴れ): 맑은가을하늘
맑은 가을 하늘 이라는 뜻을 가진 추청벼는 1955년경 일본 아이찌농업시험장에서 ’만다이니시끼'와 ’와까바’ 그리고 ’김마제’ 라는 품종을 교배 하여 육종된 품종입니다. 국내에는 1969년 도입되어, 69년과 70년 생산력 검증을 했고 장려 품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국내의 쌀 종자는 통일벼 시기를 기점으로 많이 사라졌었는데요. 근래에는 다양한 쌀 종자가 개발되고 토종종자가 보급되었지만, 70년대에 생산된 쌀 종자는 종류가 많지 않았습니다. 생산량 증대를 위해 정부에서 쌀 종자를 통재하기도 했었습니다. 밥맛이 좋고 가격이 높은 탓에 접근성이 높은 쌀 이었기에, 이 시기를 보낸 분들에게 고급 종자로 인식되어있는 쌀입니다.
■ 재배 - 유기농 ; 면 자체가 친환경 단지
2007년 친환경 광역농업단지로 선정되었습니다. 면 전체에서 연간 2300 여톤의 친환경 쌀을 재배합니다. 농약과 제초제 살충제와 살균제 없이 유기농법으로 쌀을 재배합니다.
■ 볍씨 - 저온 보관
가을 추수 이후 볍씨는 톤백에 담아, 저온 창고에 보관합니다 3~6도 사이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쌀은 볍씨의 보관에 따라 품질이 많이 달라집니다. 남아있는 수분상태에 따라 쌀의 등급이 달라지는데요. 차황메뚜기쌀막목반은 RPC 저온 창고에서 볍씨를 보관하고 있습니다.
■ 당일 도정, 3일 도정 7일 도정.
차황메뚜기쌀 작목반은 급식 납품을 병행하고있습니다. 해서 거의 매일 도정합니다. 시기에 따라 3일~7일 이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 해발 300~450m 다랭이논
경남 산청 차황면. 동쪽에는 해발 1,113m 황매산과, 서쪽에는 해발 587m 구인산과 760m 소룡산이 있습니다. 산맥 사이에 자리를 잡은 차황면의 논은 낮은 곳은 해발 300m 높은 곳은 해발 450m 까지 다양합니다. 차황면이 친환경 논 농사가 가능했던 것은, 높은 지대 탓이라고합니다. 일교차가 높고 겨울이 추운탓에 병충해 피해가 타지역보다 덜해서 가능하다고 알려졌습니다.
■ 산이 먹금고 나오는 물
차황면은 산맥이 둘러 쌓여 있습니다. 고지가 높고 산맥이 둘러 쌓인 형태 입니다. 차황면은 주로 산이 머금은 계곡물과 비에 의지하여 농사를 짓습니다. 지하수를 이용하기도합니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적은 탓에 병충해 피해가 적다고 알려졌습니다.
■ 씨앗 소독은 온탕 소독
친환경 쌀 농사의 시작은 씨앗 소독에서 시작 합니다. 차황친환경메뚜기작목반은 볍씨를 70도 전후의 온수에 온탕 소독을 하고, 모를 기릅니다.
■ 우렁이농법
우렁이를 이용하여 논 농사를 짓습니다.
■ 메뚜기쌀
메뚜기 쌀 이라는 명칭으로도 유명한 지역입니다. 메뚜기 쌀을 종자로 아시는 분도 계신데, 아닙니다. 친환경 농사를 짓게 되면서 사라졌던 메뚜기 들이 논에 다시 보이면서, 메뚜기가 사는 논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메뚜기잡기 체험 행사등을 진행하면서 친환경 쌀을 홍보하였습니다.
■ 다랭이논
다랭이논 이라는 단어를 관광지로 아시는 분도 많으실겁니다. 다랭이논은 비탈지역에 형성된 계단식 논을 말합니다. 평야지대가 아닌곳에서 행하는 논농사는 참 쉽지 않은데요. 차황면은 산이 안고 있는 지형이라 비탈지가 많아 다랭이논이 조성되어있습니다.
■ 산이 머금은 물
수확한 볍씨는 톤백에 따라 볍씨 샘플을 따로 보관합니다. 잔류농약 검사등을 하고 대처하기 위함입니다.
■ 종류
■ 포장
ㅡ
생산자
차황친환경메뚜기작목반
ㅡ
생산지
경산 남도 산청군 차황면
ㅡ
품목
유기농 인증 쌀
ㅡ
인증 번호
17100103 / 17100121
후기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알아보아주셔서 감사드리구요. 기본을 지키는 분들의 수고로움에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둘밥에게 한 마디!
방향성이나 넋두리, 미운말 고운말, 칭찬과 지적 등 언제 든지 좋으니 둘밥에게 하고자 하고 싶으신 말씀있으시면 언제든 의견 주시면, 잘 보겠습니다.
- 다만 좀 늦기도하고, 많이 늦을 수도있습니다. 하지만 지점은 어제 보다 늘 나은 방향으로 가고자 하고 있다는 것! 꼭 알아 주셔요.!!
질문!! 건의 사항!!! 등을 던지는 곳입니다.
편하게 던져주세요! 나이스 캐취로 잡고!
진중하게 고민하고 답변 드리겠습니다!!!